알쓸텍잡(Useful Tech Miscellany)

PBR(주당순자산비율)에 대해 알아보자 본문

INVESTMENT

PBR(주당순자산비율)에 대해 알아보자

Java_Chip 2023. 12. 2. 22:18

안녕하세요, 오늘은 PBR(주당순자산비율)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

많은 분들이 주식 투자할때 저평가주를 찾기 위해 PER을 보고 있지만, 최근 시장 추세를 보면 수익률이 낮아도 주가에 미래 성장성이 투영돼 PER이 높게 나오기도 하는 등 더 이상 PER만 가지고는 저평가주를 찾기는 어려운 현실입니다.

 

그래서 PBR을 같이 봐야 한다는 의견도 많습니다. 오늘은 PBR에 대해 같이 공부해보시죠!!

 

[PBR이란]

PBR은 주가를 장부가에 의한 한 주당 순자산(자본금, 자본잉여금, 이익잉여금의 합계)으로 나눈 값이다.

이를 주당순자산비율이라고 하기도 하는데요, 

이 비율이 낮게 나온다면 해당 기업의 주가 대비 순자산이 높은 것으로.. 저PER 종목과 마찬가지로 현재 저평가를 받고 있고, 향후 성장성이나 수익성이 높을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.

 

[주요 산업군별 23년 3분기 PBR은?]

1. 반도체업

 - 삼성전자 : 1.38배(PER : 15.31배) -> SK보다 PBR은 낮지만 PER은 높다

 - SK하이닉스 : 1.65배(PER : -8.41배)

 - 한미반도체 : 10.83배(PER : 33.82배)

 

2.해운사

 - HMM :  0.35배(PER : 3.66배) -> PER과 PBR이 모두 가장 낮다

 - 팬오션 : 0.52배(PER : 7.35배)

 - 대한해운 : 0.37배(PER : 9.22배)

 

3. 금융업(은행지주)

 - 신한지주 : 0.35배(PER : 4.6배)

 - KB금융 : 0.35배 (PER : 4.45배)

 - 하나금융지주 : 0.31배 (PER : 3.36배)

 - 카카오뱅크 : 2.03배 (PER : 35.69배)

 - 우리금융지주 : 0.31배 (PER : 3.24배)

 - BNK금융지주 : 0.23배 (PER : 3.31배) -> PER과 PBR이 최저수준이다

 

4. 금융업(손해보험)

 - 삼성화재 : 0.74배(PER : 7.15배)

 - DB손해보험 : 0.48배(3.81배)

 - 현대해상 : 0.36배(3.75배) ->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고 있다

 - 롯데손보 : 0.5배(294.38배)

 - 코리안리 : 0.36배(3.74배) ->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고 있다

 

5. IT업종의 23년말 예상 PBR

 - 네이버 : 1.36배(PER 39.88배) -> 카카오의 전반적 고평가 현상을 고려할 필요

 - 카카오 : 2.02배(PER 507.14배)

 

6. 자동차업

 -  현대차 : 0.52배(PER : 4.4배) -> 기아차 대비 PBR은 낮지만 PER는 높다

 - 기아차 : 0.75배(PER : 3.77배)

 - KG모빌리티 : 1.28배(36.03배)

 

[여기서 무엇을 깨달을 수 있는가?]

우리는 위 산업별 PBR에서 무엇을 깨달을 수 있을까요?

 - 첫째. 평균PBR은 대형 자산(시설, 선박 등)을 보유한 산업일수록 낮을수밖에 없다는 것과, 

 

 - 둘째. PER과 PBR이 꼭 같은 방향으로 가는 건 아니므로, 투자할때 산업군을 정했으면 PER과 함께 PBR을 살펴 저평가 받는 종목을 찾을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.

 

 - 셋째. 대체로 주식시장에서 외면받고 있는 종목일수록 PBR이 낮다.. 라는 점입니다.

 

다만, 절대적인 기준은 될 수 없으니 시장상황과 종목현황 등을 모두 살펴야 할 것입니다.

또한 PBR이 낮을수록 다른 업체에 합병될 가능성도 높다는 얘기도 있으니 이 부분도 중요 고려대상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.  끝.